공유폴더 생성 후 자격 증명 등록하기



공유폴더 생성 후 클라이언트PC에서는 재부팅할 경우 인증을 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윈도우에서 자격 증명에 추가를 해주면 더이상 인증하지 않아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경로로 이동



Windows 자격 증명 선택 후에 "Windows 자격 증명 추가“ 클릭




공유폴더 메인 ip, 계정이름, 암호 입력 후 확인




이 후부터 공유폴더 클라이언트 PC에서 서버 정보 입력 없이 접속 가능함


UEFI모드 & Fast Boot 


두개의 설정으로 인하여 CMOS 진입이 불가할 때(?)

윈도우 접속 후에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한다면 CMOS 설정값이 초기화됨

다시 접속 가능


UEFI모드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사용자들은 안쓰고, Fast Boot 꺼놓는 것이 좋은 듯.

Ldap 인증방식으로 회원관리&로그인


Ldap 인증방식 + Active Directory 을 활용하여 전사회원관리, 웹페이지 로그인, 앱 로그인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차츰 업데이트 할 예정@@@@

'Server - Windows > Active Direc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 + Java] Ldap 인증 Java 코딩  (0) 2016.09.07
[AD + Java] LDAP 프로토콜 & JNDI  (0) 2016.09.07


Ldap 인증 Java 코딩


Active Directory 정보


DC => DC00

루트도메인 => parkhs.com DC00.parkhs.com

NETBIOS 도메인 이름 => PARKHS

OU => parkhs, DC => parkhs, DC => com


parkhs.com/parkhs/adtest1

aa@parkhs.com pw : Dream1004 박 호성

bb@parkhs.com pw : Dream1004 박 철수


parkhs.com/parkhs/adtest2

cc@parkhs.com pw : Dream1004 김 호성

dd@parkhs.com pw : Dream1004 김 철수



[소스]



[출력]



LDAP 프로토콜 & JNDI


LDAP :

     LDAP은 TCP/IP 네트워크에서 좀 더 경량화하여 디렉토리 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LDAP 디렉토리 서비스를 위해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에는 C나 JAVA 또는 Perl 등의 언어를 사용한다.



JNDI :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는 디렉터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및 객체를 발견하고

     참고하기 위한 자바 API다.
     Java를 위해서 Sun Microsystems사에서 만든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를 많이 사용한다.


백업&서버이전 (내보내기&가져오기)



다른 서버로 이전할 때 사용!

Window 2012 R2 부터 가상 컴퓨터를 종료하지 않고 백업(내보내기)이 가능하다!!!






가상 컴퓨터를 우클릭 한 후에 내보내기를 클릭한다.



내보내기가 끝나게 되면 기존의 우클릭 할 때 나오는 메뉴들이 나오게 된다.



이전할 서버의 "가상 컴퓨터 가져오기"를 클릭한 후에



내보내기 했던 폴더를 지정하고 다음 - 다음 누르면 가져오기 성공!!



Hyper-V NAT 구성도





내부네트워크 NAT 설정방법



가상스위치 -> 내부네트워크 생성




물리적 H/W 랜카드 설정 -> 공유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체크 한 후에 설정을 누른다.




리눅스 22번포트 ssh로 접속을 위한 테스트이므로 추가를 누른다.




가상 Switch IP대역 192.168.137.xxx로 설정 후에 포트를 매핑(NAT) 시킨다.




마지막으로 외부에서 Host OSㅁ IP를 가지고 외부에서 SSH 접속을 해본다. !!!!!!!!!!!!!!!!!!!


가상스위치관리자 3가지 종류


1. 외부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용 스위치를 생성하면 컴퓨터의 실제 랜카드를 가상머신에 브릿지 해준다.

   가상머신을 여기에 할당하면 실제 컴퓨터가 사용하던 네트워크에 가상머신들이 연결된다.

   이 경우 공유기라던가 DHCP가 구성되어 있거나, 실제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대역을 가상머신에 부여해 주어야 한다.


2. 내부 네트워크

 - 내부 네트워크는 실제컴퓨터와 가상머신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입니다. VMware의 내부 네트워크랑 같다고 보시면 된다.

   DHCP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니 IP구성을 수동으로 하시거나 내부네트워크의 VM등에서 따로 DHCP를 구성해 주셔야 한다.


3. 개인 네트워크

 - Private 네트워크는 가상머신들만 연결하는 네트워크 입니다. 실제 컴퓨터와 가상머신간의 통신을 제공하지 않는다.

   일단 공유기가 있는 환경이시라면 간단하게 1번의 외부스위치를 생성하시고 가상머신에 할당하기만 하면 된다.

   공유기가 없으시다면 1번과 2번의 스위치를 만드시고 1번의 랜카드 속성에 가셔서 인터넷 연결공유를 구성하시면 된다.

   이경우도 역시 IP구성은 수동으로 해야한다.


외부 네트워크로 설정하면 "브릿지"개념을 생각하면 됨.. 고로 리얼IP로 잡아주면 됨


+ Recent posts